4세대 가습기 문제 해결

목차에서 문제 상황을 확인해 주세요. 터치하여 해당 증상으로 바로 가실 수 있어요!

천범수 매니저2024-12-27

① 부팅이 안되는 경우

원인

제품 내부 회로에 쇼트로 인해 작동하지 않을 수 있어요.

확인 방법

가습기의 전원을 연결해 주세요. (이미 연결된 상태라면 전원을 뺐다가 5초 뒤에 다시 연결해 주세요.)

이때 전면 디스플레이에 [ - - ] 또는 [ - F ] (와이파이 연결한 경우) 표시가 나왔다가 사라지는 것은 정상입니다.

부팅이 완료된 이후에 작동해 주세요!

전면 디스플레이에 아무 화면도 나오지 않는다면, AS 접수를 해주세요.

② 부팅은 되지만 가습기가 안 켜지는 경우

원인 1

브링더홈 가습기는 물통의 물이 본체로 내려오면 본체에서 미스트를 만들어 줍니다. 그런데, 본체에 물이 없다면 안전을 위해 작동하지 않아요!

(1~3세대의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에 [ - - ] 화면이 깜빡 거려요.)

물통에 물이 충분하더라도, 하부 본체에 물 급수가 잘 되었는지 확인해 주세요. 물통의 물이 본체로 급수될 수 있도록 조금의 시간이 필요해요!

*물통 마개가 거꾸로 끼워져 있는 경우, 급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어요!

마개를 올바른 방향으로 다시 결합하여 주세요!

*부력판의 뾰족한 부분이 밸브 사이에 끼어있는 경우, 급수가 원활하지 않을 수 있어요!

위와 같은 경우는 물통을 살짝 들었다가 다시 내려놓아 주시면 정상적으로 급수가 되어요!

원인 2

하부 본체에 물 급수가 잘 되어있더라도, 물 높이를 인식해주는 센서가 이를 감지하지 못하면 물부족으로 인식 되어요.

(1~3세대의 경우 전면 디스플레이에 [ - - ] 화면이 깜빡 거려요.)

혹시 세척을 하시며 수위 센서 고리를 빼두시지는 않았는지 확인해 주세요!

수위센서 고리가 물 높이에 맞게 잘 떠오르는지 확인해 주세요

간혹 이물질로 인해 수위센서 고리가 위로 떠오르지 못하는 경우도 있어요.

또한 수위센서 덮개를 딸깍 소리가 나도록 잘 끼웠는지 확인해 주세요!

원인 3

터치 인식이 안되어 작동하고 있지 않을 수 있어요. 브링더홈 앱에 연동하여, 앱으로 작동을 시도해 주세요!

앱에서는 잘 작동된다면 터치 인식 문제입니다.

개체별로 터치 인식되는 부분이 인쇄된 아이콘보다 조금 위쪽인 경우도 있습니다. 아이콘 위쪽을 터치하여 사용해 주세요!

터치 불량의 경우, AS 접수를 해주세요.

원인 4

과습 방지 설정에 의해 자동으로 꺼질 수 있어요.

혹시 과습방지 시나리오가 활성화 되어있나요?

과습방지 시나리오가 활성화 되어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현재 습도가 과습방지로 설정된 습도보다 높아지면 가습기가 자동으로 꺼지게 되어요! 이후, '자동가습' 조건의 습도까지 내려가면 자동으로 켜진답니다!

수동 조작을 원하신다면 앱의 [시나리오] 화면에서 활성화된 시나리오를 비활성화 시켜주세요!


① 자동가습 시나리오를 활성화해둔 경우

현재 습도가 자동가습 시나리오의 조건으로 설정해둔 습도와 낮은 경우, 가습기가 자동으로 켜지게 되어 있어요.

수동 조작을 원하시면, 초록색으로 활성화 되어있는 시나리오를 회색으로 비활성화 해주세요.


① 평평하고 단단한 위치에 설치하지 않아 분무가 높게 안 나오는 경우

가습기에서 만들어지는 입자는 본체 송풍팬의 바람으로 불어 퍼뜨려주어요.

그런데, 가습기 본체 바닥의 바람 구멍을 막게 된다면, 송풍팬의 바람이 제대로 나오지 못해요.

혹시 바닥에 수건을 깔어 두셨거나, 놀이방 매트 등의 푹신한 곳 위에 가습기를 올려두었다면, 평평하고 단단한 곳 위에 설치해 주세요!

② 가습 입자는 만들어지는데 팬이 안돌아가서 분무가 안되는 경우

가습기에서 만들어지는 가습입자를 바람을 불어 중앙 분무구를 통해 내보냅니다.

송풍팬이 고장난 경우, 가습입자를 밀어주지 못해요.

송풍팬 고장인 경우, AS 접수를 해주세요!

③ 가습기 작동 소리 (팬돌아가는 소리)는 나는데 가습 입자가 만들어지지 않는 경우

2번의 경우와는 반대로 팬은 잘 작동하여 바람은 나오는데, 진동자에서 미스트가 만들어지지 못하는 경우에요!

진동자 고장인 경우, AS 접수를 해주세요!

④ 분무가 끊기면서 나오는 경우

가습입자가 잘 만들어지지 못하고 끊기는 경우입니다! AS 접수를 해주세요!

⑤ 차가운 물을 막 넣은 경우

찬물을 넣거나, 추운 날씨에 제품을 밖에 두어 본체가 차가운 경우 분무량이 일시적으로 줄어들 수 있어요. 이러한 경우는 시간이 지나면서 자연스럽게 가습량이 늘어납니다!

만약 시간이 지나도 분무량이 정상적으로 돌아오지 않는다면, AS 접수를 해주세요!


① 조건 설정을 잘못한 경우

고객님께서 설정해 두신 시나리오 조건의 확인이 필요합니다.

시나리오의 [조건] 부분이 '모든 조건이 충족되었을 경우'로 잘 설정 되어있는지 확인 부탁드려요!

'어떤 조건이든~'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가습기가 반복적으로 꺼졌다 켜지게 됩니다.

② 온습도센서를 가습기 주변에 둔 경우

온습도센서를 가습기 바로 옆에 두면 습도의 변화가 너무 크게 감지되어요.

잠깐 작동하여도 과습방지 → 가습기가 꺼지자마자 금방 건조해져서 자동가습 → 반복

온습도센서는 가습기와 거리를 두고 설치해 주세요.

또한 가습방향을 온습도센서로 바로 향하지 않도록 해주세요!

③ 습도 조건을 너무 좁게 설정한 경우

위의 경우와 같은 현상이 나타나요. 예를들어 51%~53%로 설정해두면

잠깐 작동하여도 과습방지 → 가습기가 꺼지자마자 금방 건조해져서 자동가습 → 반복

하는 증상이 나타납니다.

습도구간을 조금은 떨어뜨려 두시는 것이 좋아요!


① 시나리오 작동중 가습기 콘센트를 빼둔 경우

가습기의 전원은 빼두더라도 온습도센서는 습도를 계속 측정하며 시나리오를 작동하는데요,

가습기에 수차례 신호를 주지만 콘센트를 빼두어 작동할 수 없겠지요. 이렇게 작동하지 못하면 안전을 위해 시나리오가 강제로 중단되어요.

이후에 가습기를 콘센트를 연결하면 강제로 중단된 상태이기 때문에 시나리오가 활성화 되어있어도 동작하지 않습니다!

이때는 가습기의 전원을 터치 또는 앱으로 켰다가 다시 꺼주시면 정상적으로 작동해요!

짧은 시간에 여러 시나리오가 반복되어 나타남

Tip. 장면로그를 확인하는 방법

브링더홈 앱 → 하단바 중앙 [시나리오] → 우측 상단 [장면 로그] (문서 모양의 아이콘)

Tip. 올바른 자동운행 사용 방법

자동운행 OFF (=시나리오 비활성화) : 물 채울 때, 본체 세척 시 전기코드 뽑기 전, 외출 시, 물 부족 알림 떴을 때

자동운행 ON (=시나리오 활성화) : 물 채운 후, 본체 세척 후 전기코드 다시 연결 후, 귀가 시

버튼을 눌러주시면 됩니다!

*물 부족 시 : 자동운행 OFF → 급수 후 자동운행 ON → 전원 ON OFF 해주기

② 차일드락 기능을 사용한 경우

차일드락은 아이나 반려동물이 실수로 터치하여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해 주어요.

그런데 의도와 다르게, 차일드락을 설정한 경우 시나리오의 작동까지 막게되는 문제가 발견되었습니다.

이러한 경우에는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해결해 드릴 수 있어요!

펌웨어 업데이트로 AS 접수를 해주세요!


물통 중앙의 분무관에 미스트 커버 (물고임 방지 커버)를 끼워 두셨을까요?

해당 부품은 굵은 물 입자를 물리적으로 걸러주어요.

이 부속품을 빼고 사용할 경우 가습기 주변이 축축하게 젖게 되어요.

꼭 물고임 방지 커버를 올바르게 끼워 작동해 주세요.

가습기에서 만들어지는 입자는 본체 송풍팬의 바람으로 불어 퍼뜨려주어요.

그런데, 가습기 본체 바닥의 바람 구멍을 막게 된다면, 송풍팬의 바람이 제대로 나오지 못해요.

이로인해 가습이 멀리 나가지 못하여, 주변 물고임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혹시 바닥에 수건을 깔어 두셨거나, 놀이방 매트 등의 푹신한 곳 위에 가습기를 올려두었다면, 평평하고 단단한 곳 위에 설치해 주세요!

아무리 고운 입자로 가습을 하더라도 과습으로 습기가 포화상태가 된다면 주변으로 물이 맺힐 수 있어요. 과습방지 시나리오 사용으로 과습이 되기 전에 가습기가 작동을 멈추도록 해야 해요.

과습방지 시나리오를 올바르게 사용하여 주세요.

올바른 사용

  • 자동 가습 그리고 자동 과습 방지 시나리오만 잘 설정 (임의로 추가한 시나리오 없음)

  • 자동 과습 방지 시나리오가 활성화되어 있는 상태

  • WiFi 신호 강도 양호함

  • 올바른 온습도센서 어댑터 사용 (고속 충전기 및 보조베터리 사용 안됩니다!)

잘못된 사용

  • 시나리오 → 장면 로그에 과습방지가 실행되지 못함

  • 시나리오의 자동과습방지 시나리오가 비활성화되어 있는 상태

  • WiFi 신호 강도가 약함

  • 임의 설정한 시나리오가 있음 (조건 설정을 잘못하여 시나리오 충돌 발생)

※ 차일드락 기능을 사용하는 경우

차일드락 기능은 아이들이나 반려 동물이작동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설정을 만들어 두었으나, 의도와 다르게 시나리오의 작동을 막아, 과습방지 시나리오가 작동하지 못합니다.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빠르게 해결 가능 합니다.

접수 안내

https://bringthehome.channel.io

링크 접속 → 문의하기 → 제품 문제 접수 → 작동이 불가해요 → 펌웨어 업데이트 요청


원인

물통 급수부 실리콘 마개의 경도가 50 정도로, 작년 3세대 대비하여 2배 이상 경도가 단단해진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실리콘 마개가 말랑말랑해야 급수부 부분을 잘 덮어주면서, 틈 없게 만들어주는데 경도를 너무 높여 만든 것이 원인이었습니다.

개선 상황

2가지 개선 방안을 바로 적용했습니다.

  • 전 물통의 물샘 검사 시간을 2배 늘렸습니다.

  • 실리콘 마개의 경도를 20으로 낮춰, 상당히 말랑말랑하게 개선하였고 이를 테스트 해보니 기존 경도 50이 적용된 물통의 물샘 증상을 → 경도 20 적용 시 잘 해결됨을 확인하였습니다.

해결 방법

경도 20의 실리콘 마개를 교체해주면 해결이 됩니다.

물통 물샘 문의를 남겨주시면, 부속품을 교체하실 수 있도록 마개를 보내드릴게요!


원인1

  • 물통 누수로 인해 본체 수조에 물이 가득 차면서, 본체와 물통 사이에서 새어 나오는 것입니다. (사진)

  • 이 경우는 위 물통에서 물이 새는 경우를 참고하여 주세요.

원인2

  • 부력판을 제대로 끼우지 않은 경우

물통의 급수부 스프링을 누르면 물통의 물이 본체로 급수가 되는데요,

본체에 물이 적정 수위만큼 올라오면 물통의 마개가 닫혀야 해요.

그런데, 부력판을 제대로 끼우지 않아 이 스프링을 계속 눌리게 되면서 물 급수가 멈추지 않게 돼요.

부력판을 제대로 끼웠는지 꼭 확인해 주세요.

올바른 사용

부력판을 부력판 지지대에 딸깍 소리가 나도록 잘 끼움

잘못된 사용

부력판을 부력판 지지대의 한쪽 부분에만 걸쳐둠


원인1

본체 가열판 부분의 나사 토크가 덜 조여진 부분이 발생했기 때문이었습니다.

자동 나사 체결 장비를 활용해 공정 자동화를 해두었으나, 드물게 이 장비가 나사 좌표를 살짝 어긋나게 판단하여, 나사가 덜 조여지는 증상이 발생된 것이었습니다.

이러한 경우 본체 바닥의 구멍에서 물이 새어 나오고, 송풍팬 필터가 젖는 증상이 나타나요.

개선 상황

이 원인을 확인 후, 자동 체결 장비를 쓰지 않고 사람이 직접 전동 드라이버로 모두 수작업을 하고 있습니다. (2024년 11월 17일 적용)

해결 방법

AS를 통해 문제를 해결해 드리고 있어요. (구매 직후 문제가 바로 나타난 경우 교환)

혹시 본체 아래의 구멍에서 물이 새어 나왔다면 꼭 AS접수를 해주세요!

원인2

가습기 본체 아래에는 바람이 통하는 구멍들이 있어요. 가습기를 수건이나 카펫과 같이 푹신한 곳 위에 두고 사용하게 되면, 이 구멍이 막히게 되어 공기 순환이 불가해져요.

이 상태로 웜미스트 작동시 열변형이 생길 수 있어요.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꼭 단단하고 평평한 곳 위에 안정적으로 설치하여 사용해 주세요.

제품에 외관상 변형이 보이는 경우,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AS 접수를 해주세요!

원인3

가열판에 생긴 석회를 제거하지 않고 방치할 경우, 단단하게 굳어 가열판 위에 층을 형성하게 되어요.

이 상태로 웜미스트 작동시 열이 물로 전달되지 못하고 본체로 전달되어 열변형이 생길 수 있어요.

이러한 문제를 예방하기 위하여 가열판을 구연산으로 불려 세척하여 주세요.

가열판은 깨끗한 상태로 유지, 관리해주세요.

제품에 외관상 변형이 보이는 경우, 즉시 사용을 중단하고 AS 접수를 해주세요!


가습기 작동을 멈추더라도 팬이 일정시간 30~60초 가량 돌아가는 것은 정상이에요!

작동을 멈추더라도 분무관에는 미처 밖으로 나가지 못한 가습 입자들이 남아있는데요, 이러한 가습 입자를 밖으로 내보내고, 본체 내부에 습기가 차지 않도록 팬이 돌아가게 되어있어요.

이때, 강제로 콘센트를 뽑아 작동을 중단하면, 내부에 습기가 차면서 제품이 금방 망가질 수 있으니, 꼭 팬이 돌아갈 수 있도록 해주세요!


[웜미스트 가동 후]

약 20분 정도 후 분무구에 손을 대어 보시면 따스함이 느껴지실 거에요!

시간이 지날수록 온도는 더 상승한답니다!

(사진)

[따뜻한 가습의 주 목적]

공기의 온도를 차갑지 않게 만드는 것이 첫번째랍니다!

손을 대었을 때 따뜻하나, 주변으로 퍼지면서 식는 것처럼 느껴지실테지만,

식는 이유는 미스트의 열 에너지가 공기 분자에게 뺏기기 때문이랍니다.

즉, 공기 자체는 계속 열 에너지를 공급 받아, 차갑게 되지 않게 되고

나아가서 환경에 따라서는 소폭 온열효과를 주기도 하는 것이죠!

관련된 내용을 블로그에 정리해두었으니, 한 번 읽어보시면 좋을 거에요!

[브링더홈 공식 블로그 - 따뜻한 가습을 하면 공간이 따뜻해지나요?]

https://blog.naver.com/bringthehome_/223218082393

(아티클)

(영상)

[증상]

물 끓는 소리가 나요, 고음의 소리가 나요, 귀신 소리가 나요 등...

최초 작동시에는 소음이 없지만, 일정 시간 웜미스트 작동시 고음의 소리가 간혹 나타나기도 해요.

원인1

물의 핵끓음으로 인해 스테인리스 가열판에 기포가 생기는데요, 이 기포가 터지면서 스테인리스 판과 공명하여 나타나는 소리입니다!

해결 방법1

가습기 작동을 잠시 멈춘 뒤, 흰색 세척솔을 이용하여 가열판에 붙어있는 기포를 솔질하여 제거해 주세요. (영상)

다시 작동해 보시면, 소리가 사라진 것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원인2

스테인리스 가열판에 석회가 생긴 경우 공명음이 발생 할 수 있어요!

해결방법2

구연산 희석액으로 석회를 불려서 제거해 주세요. 이후 소음이 사라지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어요!


검색했는데 기기가 안떠요. → 블루투스 안킴

스마트폰 블루투스 기능이 활성화 되어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가습기, 센서가 페어링 모드 활성화 되어 있는지 확인해 주세요.

[본체 페어링 안내]

https://youtube.com/shorts/ruOKYDGKFM4?si=vDPl7kpd8yFafEVD

  1. 가습기 콘센트를 꼽아주세요. (이미 꼽혀있는 상태라면 뺏다가 5초 뒤에 다시 꼽아주세요.)

  2. 가습기 본체의 수면모드 버튼을 4~5초 정도 길게 터치해 주세요.

  3. 디스플레이에 [ C F ] 화면이 나오면, 앱에서 기기추가를 눌러 완료해 주세요!

[온습도 센서 페어링 안내]

  1. 온습도센서의 전원을 연결해 주세요. (★정격전압의 전원을 사용해 주세요.)

  2. 온습도센서 뒤편의 커버를 열어 버튼을 4~5초 정도 길게 눌러 주세요.

  3. 후면에 파란 불빛이 깜빡거리면, 앱에서 기기 추가를 눌러 완료해 주세요!


  • 2.4G가 아닌 5G 연결했을 경우

    • 스마트폰 와이파이를 2.4GHz에 연결해 주세요! (사진)

  • 비밀번호 입력 오류

  • 2.4G 선택 및 비번 오류 없는데도 안되는 경우

    • 2.4G 채널 부족 (아티클)

    • WiFi 신호가 매우 약할 경우

  • 2.4G 와이파이가 없는 경우

    • 와이파이 공유기가 2.4GHz 및 5GHz 대역을 모두 지원하지만, 핸드폰의 Wi-Fi 검색에 하나의 Wi-Fi만 표시되는 경우, 아래의 안래를 따라 주세요.

      1. 공유기의 무선 페이지로 접속합니다. (주소는 보통 공유기 뒷면 라벨에 있어요.)

      2. 2.4GHz 설정 페이지로 들어가서 Wi-Fi 이름 (SSID)을 홍길동-2.4G로 설정합니다. 여기서 홍길동은 Wi-Fi 이름으로 원하시는 이름으로 설정해주세요.

      3. 마찬가지로 5GHz 설정 페이저로 들어가서 Wi-Fi 이름 (SSID)을 홍길동-5G로 설정합니다.

      위의 설정을 완료하면, 새로운 Wi-Fi 이름이 휴대폰의 Wi-Fi 설정 페이지에 표시되어요!

      참고 : Wi-Fi 이름을 변경한 후에는 이 무선 공유기를 사용하는 기기를 다시 연결해야 해요. 비밀번호를 변경하지 않았다면 동일하게 유지됩니다!


엑세스포인트가 새로 잡히는 경우 (공유기와 중계기의 와이파이 이름이 같은 경우)

[시나리오] 화면에 들어가셨을 때,

"자동화를 사용할 수 없습니다. 더 보려면 누르십시오." 라는 메시지가 있다면, 시나리오 충돌로 정상작동 되지 않습니다.

(사진)

공유기와 중계기 이름을 서로 다르게 설정해 주세요.

(아티클)

사용할 수 없는 더미 데이터가 있다면 오작동의 원인이 될 수 있어요!

자동화를 사용할 수 없는 시나리오가 있다면 메시지를 클릭하여 모두 삭제해 주세요 :)

이후 다시 새 시나리오를 만들어 주시면 됩니다!

올바른 시나리오 설정 링크


① 제품 교환 후 재등록 하는 경우

제품 교환 이후 재등록 → 자동화 사용할 수 없는 시나리오 제거 → 추천시나리오 등록

② 실수로 페어링모드 [ C F ] 에 진입한 경우

수면모드를 작동하려다 실수로 페어링 모드를 작동하는 경우가 간혹 있습니다. 페어링모드에 진입할 경우 등록된 기기가 삭제돼요. 이 경우 기기를 재등록을 해주셔야 합니다.


① 시나리오 작동 중 강제로 콘센트를 뽑은 경우

② 와이파이 신호강도가 약해 시나리오가 작동하지 못하는 경우

③ 차일드락을 설정한 경우

차일드락은 아이들 또는 반려동물이 실수로 터치하여 오작동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기능이에요!

그런데, 의도와 다르게 차일드락 설정시 가습기의 시나리오(자동운행)까지 막게 되어, 과습이 되더라도 꺼지지 않는 증상이 있어요.

해당 부분은 문제를 확인하였고, 개발자 분을 통해 수정을 진행하였어요!

OTA(온라인 펌웨어 업데이트)를 통해 펌웨어 업데이트를 진행하면 별도의 AS없이 최신 펌웨어로 사용 가능해요!

OTA가 필요한 경우 아래 링크를 통해 진행해 주세요!

(아티클 - 준비중입니다.)


링크

브링더홈 온습도센서는 일반적인 습도센서가 아닌, 정밀한 IoT 기기입니다.

센서의 스펙도 시중의 저항형 습도센서보다 정확하며, 측정도 실시간으로 해줍니다!

실제로 손으로 쥐고 있으면 손의 습기까지 측정되어요.

따로 가지고 계신 습도센서와 비교해 직접 테스트해 보시면 더 빠르고 정확하게 작동하는 것을 확인하실 수 있을 거예요 :)

(아티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