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umbnail

가습기와 온습도 센서 설치 위치 가이드 & 사용 FAQ

가습기, 우리 집 환경에는 어떻게 설치를 하는 게 좋을까?

김기원 총괄매니저2025-01-16

공간별, 상황별 설치 위치를 미리 알아보실 수 있도록 가이드를 마련했습니다.

또한 가습기 사용과 관련하여 자주 물어보는 질문들을 정리했어요.

※ 목차에서 원하는 정보를 선택하세요.

가습기와 온습도 센서, 올바른 설치 위치를 잡는 것이 올바른 온습도 관리의 시작입니다.

업데이트 일자 : 2025.01.15

우리 집에서 어떻게 설치해야 좋을까? 고민 FREE

브링더홈은 공간의 크기, 창문 위치와 우풍 여부, 침대 얼굴 맡 환경을 고려해 최적의 가습기와 센서 설치 위치를 알려드리는 설치 위치 상담 서비스를 제공합니다. 서비스에 앞서, 사전에 설치 위치를 고려하실 수 있게 가이드를 준비했습니다.

  • 브링더홈 가습기 & 온습도 센서의 설치 위치

    • IoT 가습기는 발치에 설치하여 주세요.

    • IoT 온습도 센서는 숨 쉬는 곳 (얼굴 맡)에 설치하여 주세요.

  • 설치 시 유의 사항

    • 가습 방향은 사람이 아닌, 빈 공간을 향해 주세요.

    • IoT 자동 운행을 위해 와이파이 통신 환경을 원활하게 해주세요.

    • 평평하고 단단한 곳 위에 설치해 주세요.

    • 온습도 센서를 벽이나 창틀에 두지 마세요.

    • 카펫, 침구류, 커튼, 가구등 환경에 따라 습기를 머금어 가습 효율이 떨어질 수 있어요.

1.5~3평 작은 아기방에서도 과습 없이 완벽한 습도 관리를 해줍니다.

  • 기본 가이드

    • 웜미스트를 사용하여도 공기의 온도가 차가운 상태라면 금방 열을 빼앗깁니다. 가습 입자가 아이들에게 직접 향하면 체온을 빼앗길 수 있으니, 빈 공간을 향하도록 해주세요.

    • 온습도 센서 : 숨쉬는 곳 가까이에 설치합니다. 아기 침대 머리맡, 안전 가드 등에 설치하여 주세요. 아이가 손으로 잡아당기지 않도록 유의하여 설치해 주세요.

    • 가습기 : 호흡기로 부터 2m 떨어뜨려 주시고, 공간이 나지 않을 경우 분무 방향과 분무량을 조절하여 가습입자가 아이에게 직접 닿지 않도록 해주세요. 침대 높이에 따라 스툴을 활용하여 가습기의 설치 높이도 높여 주세요. 낮은 침대, 베이비룸, 아기 펜스 등을 사용 중이라면 바닥에 두고 사용하셔도 좋습니다.

넓은 안방에서도 풍부한 가습을 해줍니다.

  • 기본 가이드

    • 호흡기로부터 2m 떨어뜨려 주시고, 빈 공간을 가습할 수 있도록 방향을 조절해 주세요. 침대 높이에 맞게 스툴을 활용하여 가습기의 높이를 높여주면 가습 효율이 좋아집니다.

    • 센서 : 침대 헤드보드 또는 침대 옆 협탁에 온습도 센서를 설치해 주세요.

    • 가습기 : 가습기는 발치에 놓아, 호흡기로부터 2m 떨어뜨려 주세요

난방 텐트 내부의 습도도 정확하게 관리해 줍니다.

  • 기본 가이드

    • 온습도 센서 : 난방텐트 안에 실제 숨 쉬는 곳 근처에 설치하여 주세요.

    • 가습기 : 난방텐트 입구를 바라보는 방향과 나란히 설치하는 것이 가장 좋습니다.(아래 사례는 특수 상황이 있어 텐트 입구 방향이 90도 돌린 상황)

    • 수면 시 난방텐트의 문은 반드시 1/3 이상 개봉하여 주세요. 난방텐트 특성상 공기 순환 & 열 전도가 낮아 텐트 안 온도가 과하게 높아질 수 있어요.

    • 가습기 분사 방향은 난방텐트를 직접 쏘지 않도록 해주세요. 난방텐트 표면 코팅에 습기가 이슬처럼 맺힐 수 있으며 가습 효율이 떨어지게 됩니다.

설치 위치 상담 서비스 사례

30평 내외 거실에서도 충분히 가습을 해줍니다.

  • 기본 가이드

    • 방에서 사용 시 호흡기로부터 2~3m 내외의 거리를 두고 미스트를 직접 쏘지 않도록 했으나, 거실에서는 다르게 적용합니다.

      • 거실은 개방된 공간으로 공기 유입이 매우 활발하여 습기 손실량/손실 속도가 빠릅니다. 그래서 밀폐된 공간인 방과 다르게 미스트를 직접 쏘아주어 가습 효율을 최대한 올려줍니다.

      • 단, 지역, 환경, 계절에 따라 거실의 습기 손실량/손실 속도가 다르므로 가습 효율이 달라질 수 있습니다.

    • 가습기 : 호흡기로부터 2m 이내의 거리에 두고 미스트를 생활 반경에 직접 쏘아 줍니다.

    • 센서 : 가습기로부터는 거리를 떨어뜨리고, 생활 반경의 최대한 가까운 곳에 설치합니다.

설치 위치 상담 서비스 사례

매우 작은 방에서도 과습 걱정 없이 습도 관리를 해줍니다.

  • 기본 가이드

    • 방에서 사용 시 기본 가이드를 준수합니다. 호흡기로부터 2m 내외의 거리를 두고 미스트를 직접 쏘지 않도록 합니다. 간접 가습의 효과를 누려주도록 합니다.

      • 작은 방은 보통 밀폐된 공간으로 쉽게 습도가 오릅니다.

      • 브링더홈 솔루션의 자동 과습 방지 기능을 통해 과습을 막을 수 있습니다.

    • 가습기 : 호흡기로부터 2m 거리에 두고 미스트 방향은 발치로 쏘아줍니다.

    • 센서 : 가습기로부터는 거리를 떨어뜨리고, 숨 쉬는 곳 가까이에 설치합니다.

설치 위치 상담 서비스 사례

반려 동물이 있는 공간에서도 제품이 넘어지는 일 없이 & 화상 걱정 없이 안심하고 습도 관리를 할 수 있습니다.

  • 기본 가이드

    • 브링더홈 솔루션의 자동 습도 관리 기능을 통해 집사가 집에 없어도 알아서 습도 관리를 해줍니다.

    • 가습기 : 반려 동물의 생활 반경 쪽으로 미스트를 쏘아줍니다.

    • 센서 : 가습기로부터는 거리를 떨어뜨리고, 반려 동물의 생활 반경 가까이에 설치합니다.

  • 브링더홈은 순수한 물, 정수 물 사용을 권장합니다.

    • 깨끗한 물 사용은 깨끗한 가습, 그리고 위생관리에 도움이 되어요.

    • 수돗물에는 다양한 미네랄이 포함되어 있어요. 이러한 미네랄이 석회나 녹의 원인입니다.

  • 정수기 필터를 확인해 주세요.

    • 역삼투압 방식의 필터가 아니라면 정수 물에 미네랄이 남아있으므로, 정수기 물이더라도 석회/녹이 발생될 수 있어요.

    • 활성탄 필터 기반 간이 정수기 (브리타, 아비스 등) 사용 시 물에 검은 가루가 나올 수 있어요. 이는 가습기가 아닌 물이 원인이랍니다.

  • 만일 정수기가 없을 경우

    • 세척 가이드를 준수하여 주신다면 수돗물을 사용하셔도 충분히 위생적으로 사용 가능합니다.

    • 세척 가이드.. 꼭 잘 지켜주세요

더 자세히 읽어보기

  • 매일 세척 빡빡하실 필요 전혀 없어요.※ 브링더홈은 소비자보호원 가습기 실태조사 보고서에서 제안한 가습기 세척 관리 가이드라인을 따릅니다.

    • 매일 물 교환만 해도 세균이 87.3% 감소해요.

    • 이틀마다 부드러운 솔질까지 더해주면 세균이 98.8% 감소해요.

    • 5~7일에 한번 물통은 주방세제로, 본체는 구연산 희석액으로 세척해주세요.

  • 본체에 물이 들어갈까 걱정돼요.

    • 본체를 담가 세척한 것이 아니라면, 물이 튀면서 송풍구로 들어간 정도는 자연스럽게 아래로 배출되어요. 본체를 그대로 놓아두세요.

    • 회로는 바닥에서 띄워져 있어요. 물을 빼기 위해 흔들거나 뒤집으면 오히려 문제가 생길 수 있어요. 그대로 두시면 문제가 생기지 않아요! (송풍팬에 물이 묻었다면 작동음이 크게 날 수 있어요.)

  • 세척 후 말리고 사용해야 하나요?

    • 구연산이나 주방세제가 남지 않도록 잘 헹구어 주셨다면, 바로 사용하셔도 되어요.

    • 장기간 보관시에는 물기를 모두 말려 보관해 주세요.

  • 첫 사용 시 세척 후 사용해야 하나요?

    • 가볍게 물로 헹궈주세요. 브링더홈은 출고 전 생수로 작동 검수를 해요. 이 과정에서 약간의 물 자국이 남아있을 수 있어요.

브링더홈 가습기 4세대, 세척 방법 1분 영상

브링더홈 가습기 4세대, 본체 물 쉽게 버리는 방법

  • 35dB 이하의 조용한 작동음 (WHO가 제시한 침실 소음 기준 충족)

    • 공기청정기 가장 약하게 틀었을 때보다 조용한 편이에요. 실제 작동음을 확인해보세요.

  • 일반 가습 시 25W가 유지되고, 웜미스트 (가열) 활성화 시 105~106W로 유지

    • 소비전력 계측기 (모니터)로 직접 측정한 값입니다!

  • 매일 10시간 1개월 사용 시 누진세 구간까지 고려한 전기요금~200kWh 구간 : 3,780원 201~400kWh 구간 : 6,760원 400kWh~ 구간 : 9,680원

  • 참고로, 가열식 가습기가 소비전력이 최소 300중반~900후반까지도 사용하게 되어, 평균 소비전력 400W 라고 가정하였을 때 ~200kWh 구간 : 14,400원 201~400kWh 구간 : 24,750원 400kWh~ 구간 : 36,870원이 나오므로브링더홈 가습기가 압도적으로 전기요금이 저렴합니다.

바로가기 클릭 : 제품 불량 & 반품 현황

  • 브링더홈은 소비자들의 알 권리를 보장하고, 올바른 제품 구매를 돕기 위해 업계 최초로 불량 및 반품 현황을 투명하게 공유합니다.


설치 위치 가이드 & FAQ가 도움이 되셨나요?

다음으로는 브링더홈 가습기 사용 첫 날, 브링더홈 솔루션 제대로 사용하기 가이드를 읽어보세요!

IoT 설정이 어렵진 않을까? 온습도 얼마로 하는 게 좋을까? 고민 FREE

  • WiFi 연결 및 초기 IoT 설정 가이드를 제공해드려요.

  • 호흡기 자극 없는 온도 습도 구간에 대한 가이드라인 및 설정을 지원하여 가장 숨쉬기 편한 최적의 온습도 관리를 도와드릴게요.